UN회원국

시진핑 주석, 11년 만의 국빈 방한… “민생 중심 외교로 한중관계 새 전기”

- 한반도 평화와 안정 논의… “중국의 건설적 역할 기대”
- 민생 중심 실질 협력… 통화스왑·FTA·보이스피싱 공조
- “국익과 실용 중심의 외교”… 한중관계 전면 복원 선언
- 경주서 열린 정상회담… 천년의 도시에서 ‘미래 100년’ 논의

유엔저널 이존영 기자 |  지난 1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1년 만에 국빈 자격으로 방한해 이재명 대통령과 첫 정상회담을 가졌다. 이번 회담은 “민생이 가장 중요하다”는 양국 정상의 공감대를 토대로, 양국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 협력 방안 마련에 초점이 맞춰졌다.

 

 

시 주석은 10월 30일 입국 후 APEC 정상회의에 참석한 뒤, 11월 1일 오후 경주박물관 천년미소관에서 열린 공식 환영식에 참석했다.


취타대의 선도 속에 행사장에 도착한 이재명 대통령은 시 주석을 맞이하며 환담을 나누었고, 두 정상은 특별전시관 내 회담장으로 이동해 약 100분간 정상회담을 진행했다.

 

회담 직후에는 양국 중앙은행 간 70조 원 규모의 원-위안 통화스왑 계약과 정부 부처 간 6건의 MOU 체결식이 이어졌다.


이후 열린 국빈만찬에서는 두 정상이 각국의 정치적 여정을 공유하고, 공통의 취미인 바둑을 화제로 삼으며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에서 우의를 다졌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회담 결과 브리핑에서 “이번 회담은 이재명 정부의 국익 중심 실용외교가 결실을 맺은 자리로, 한중관계가 전면 복원의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평가했다.

 

두 정상은 양국이 식민지 시기의 고난을 함께 극복해온 역사적 연대와, 경제 발전을 견인한 호혜적 협력의 정신을 재확인했다. 이를 토대로 “시대 변화에 부응하는 성숙한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로 발전시키자는 데 의견을 모았다.

 

양측은 고위급 정례 소통 채널을 재가동하고, 문화·학술·지방정부 등 다양한 민간 교류를 확대해 상호 이해와 신뢰를 높여가기로 했다.

 

이번 회담의 핵심 키워드는 ‘민생’이었다.
양국은 경제협력 구조를 ‘수평적 협력’으로 재편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협력 성과 창출에 합의했다.

 

이를 위해 ▲70조 원 규모의 통화스왑 계약(5년 만기) ▲FTA 서비스·투자 협상 가속화 ▲지방경제 활성화를 위한 협의 채널 확대 ▲공급망 안정화 협력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한 ▲실버산업 및 혁신창업 분야 협력 ▲한국 농산물의 대중 수출 확대 ▲보이스피싱 및 온라인 사기범죄 대응 공조 등 실생활 중심의 협력도 강화하기로 했다.

 

문화·환경 분야 협력과 인적교류 편의 조치도 확대되어, 국민 간 왕래와 이해의 폭이 넓어질 전망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 실현을 위한 한국 정부의 구상을 소개하며 중국의 건설적 역할을 당부했다.
이에 대해 시 주석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 문제 해결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답해, 향후 북핵 문제와 평화 프로세스 재가동을 위한 외교적 공조 가능성을 열었다.

 

민간 차원에서도 중국 주요 언론사와 한국 언론사 간 MOU가 체결되어, 한중 양국의 언론 교류와 상호 이해 증진이 강화될 전망이다.
정부는 “이번 국빈방한은 한중관계가 안정적 궤도에 진입했음을 상징하는 전환점”이라며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 성과로 이어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