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저널 김동현 기자 | 지난 10일부터 11일까지, 사야삿 누르벡(Sayasat Nurbek) 카자흐스탄 과학고등교육부 장관이 한국을 공식 방문했다. 이번 방문은 단순한 의례적 교류가 아니라, 급속한 기술 변화 시대에 양국이 어떻게 교육과 혁신을 매개로 협력할 것인가를 모색한 실질적 논의의 장이었다. 카자흐스탄은 중앙아시아의 핵심 국가로, 첨단기술과 교육 개혁을 국가 전략으로 삼고 있으며, 한국은 이미 ICT·인공지능·벤처생태계에서 세계적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따라서 이번 만남은 양국 모두에게 미래 지향적 협력의 동력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누르벡 장관은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과 회담을 갖고, 양국이 과학·기술·혁신 협력을 새로운 단계로 심화하기로 합의했다. 특히 공동 연구와 혁신 플랫폼 구축이 논의되었으며, 이는 카자흐스탄이 추진하는 디지털 전환 정책과 한국의 ICT 경쟁력이 결합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 또한 이광형 카이스트 총장과의 만남에서는 인공지능, 로보틱스, 스타트업 인큐베이션 등 구체적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하고, 공동 연구실 설립과 학술 교류를 통해 카자흐스탄의 첨단 기술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데 의견을 모았다. 교육 분야
유엔저널 김동현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은 9월 2일 오후 대통령실에서 열린 신임장 제정식에서 신임 주한 상주대사 7명으로부터 신임장을 제출받았다. 이번 제정식은 새 정부 출범 이후 처음 개최된 것으로, 양국 간 외교 관계의 새로운 출발을 알리는 자리였다. 신임장을 제출한 대사는 다음과 같다. 토피크 이슬람 샤틸(Toufiq Islam Shatil) 주한 방글라데시 대사 시앙가 키부일라 사무엘 아빌리우(Sianga Kivuila Samuel Abílio) 주한 앙골라 대사 리예스 네이트-티길트(Lyes Nait-Tighilt) 주한 알제리 대사 사예드 모아잠 후세인 샤(Syed Moazzam Hussain Shah) 주한 파키스탄 대사 안지 샤키라 마르티네스 테헤라(Angie Shakira Martínez Tejera) 주한 도미니카공화국 대사 훌리오 에라이스 에스파냐(Julio Herraiz España) 주한 스페인 대사 체쳅 헤라완(Cecep Herawan) 주한 인도네시아 대사 이재명 대통령은 신임 대사들의 부임을 환영하며, “국가 간 관계의 출발점은 결국 사람과 사람의 만남과 소통에 있다”며 “각계각층의 인사들과 자주 만나고 긴밀히 교류해 양국 관계를
유엔저널 김동현 기자 | 인간을 중심으로 한 우주는 하늘(天)과 땅(地) 그리고 사람(人)으로 이루어져 있다. 우주를 나타내는 하늘 천(天) 자는 위에 가로지른 일(一) 자가 하늘을 나타내고, 아래에 가로놓인 일(一) 자가 땅을 나타낸다. 그리고 그 중간에 사람 인(人) 자가 서 있다. 하늘을 머리에 두고 땅을 밟고 존재하고 있는 사람을 중심으로 우주의 모습을 형상화한 것이다. 하늘 천(天) 자는 이렇게 우주의 모습과 함께 우리 존재의 근본을 시사한다. 실제 우리 인간은 하늘이 내리는 따뜻한 햇빛과 산소를 마시며 산다. 한 시도 그 햇빛과 산소 없이는 살아갈 수가 없다. 그것은 생명의 유지를 위한 절대적 조건이다. 사람의 존재는 하늘(天)이 주는 적정한 햇빛과 산소의 시혜라는 조건이 주어질 때만이 존재가 가능함을 의미한다. 같은 이치로 사람의 존재는 땅(地)을 딛고 살 때만이 건강한 존재로서 생존할 수 있다. 마치 모든 식물이 땅에 뿌리를 박고, 모든 동물들이 땅을 밟고 살아가듯, 우리 인간 역시 땅에 뿌리를 두고, 땅을 밟고 살아야 함을 의미한다. 맨발로 지구의 땅을 밟고 접지해야 우리의 모든 생리적 작용들이 정상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또 하나의 절대적 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