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성군(군수 이상철)이 지난 14일 생생문화유산 활용사업인 '내가 만난 첫 번째 문화재'가 3년 연속 우수사업에 선정되며 명예의 전당에 올라 문화재청장상을 수상하게 됐다. 이 상은 대전 DCC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3년 지역문화유산 활용 우수사업 시상식에서 수여됐다. 이번 2023년 생생문화재 활용사업 우수사업 선정은 전국 165개 지자체 중에서 곡성군을 포함한 11개 지자체가 선정됐다. 곡성군은 2015년부터 2023년까지 마천목 장군의 도깨비를 주제로 국제 세미나 및 포럼을 개최하고 마천목 사당과 예장묘의 도 지정 문화재 등록 및 도깨비학회를 창립했다. 이를 통해 문화유산을 처음 접하는 유아를 대상으로 호기심과 친근감을 유도하고 동화책 및 인형극 개발 및 운영으로 문화유산에 대한 인식개선에 큰 역할을 담당한 공로로 우수사업에 선정됐다. 곡성군이 주최하고 (사)섬진강 도깨비마을에서 주관하는 '내가 만난 첫 번째 문화재'는 5월부터 12월까지 마천목 사당, 도깨비 숲길, (사)섬진강 도깨비마을에서 운영되고 있다. 1회당 40명씩 유치원, 어린이집 등 1천여 명을 대상으로 아동들이 인형극과 체험학습 등을 통해 문화재와의 첫 만남을 긍정적이고 친근하게 느낄 수
글 / 동신대 군사학과4년 이정인 / 육군 장교후보생 어느덧 임관을 앞둔 지금 지난 과거를 되돌아보며 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 동신대학교 군사학과에 입학한 그날부터 나는 오늘만을 위해 묵묵히 필요조건을 갖추어 나갔고 끝내 그 결실을 맺는 날이 머지않았다. 대학교 4년의 모범적인 학교생활과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이 남다른 우수한 학생으로서 육군참모총장상(대장 박안수)을 수여 받으며 그 노력을 인정받았다고 생각한다. 선배 장교들의 임관을 차례로 지켜보며 언젠가 다가올 내 차례를 꿈꿔왔고 그 과정이 마냥 순탄하지만은 않았지만 ‘힘들면 쉬어가되 포기하지 말자’는 좌우명으로 여기까지 올 수 있었다. 10년 전 판문점을 방문했을 당시가 기억난다. 긴장되는 분위기 속 대치하고 있던 우리나라 군 장병들의 모습에 나는 처음 군인이 되어야겠다는 다짐을 했다. 그날 그곳을 방문하지 않았더라면 “우리가 누리는 모든 것에 당연한 마음을 가지고 살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든다. 누군가의 희생과 헌신이 있기에 우리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기꺼이 그 명예로운 일을 함께하고자 했을 때의 다짐과 열정을 아직도 굳게 가지고 있다. 어떠한 상황에서도 흔들림 없는 강인함을 가지는 사람
유엔저널 이존영 기자 | 취재진은 부산 해양경찰서 정영진 총경을 만나 해양경찰에 대한 경험담을 소재로 인터뷰를 했다. 이글은 정영진 부산해양경찰서장의 당시 “경찰관 25명을 태운 승조함을 구출하는 경험담을 내용으로 인터뷰한 것이다. 정영진 서장은 ” 해양경찰에 入直입직하여 34여년의 많은 세월을 바다에서 보냈다. 먼저 그 동안 나를 믿고 따라와 준 아내와 아이들에게 고맙다는 인사를 하고 싶다. 집에서 생활하는 시간보다 바다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았기에 가정에 소홀 할 수 있었음에도 묵묵히 뱃길을 봐주는 등대처럼 나를 따라준 가족들이 있었기에 여기까지 올수 있었다. 나는 부산해양경찰서장, 목포해양경찰서장, 5002함장 둥 일선의 지휘관으로 근무하면서 경험 한 내용을 기억을 더듬어 새로 담고자 한다. 1989. 10. 28일 해양경찰에 순경으로 투신하였다. 순경에서 총경까지 29년 걸려 승진하였는데 가장 오래 단 계급이 순경이었다. 변명을 하자면 당시 나이 27세로 직장에 대한 확신도 안서고, 내 적성을 고민하다 보니 누락된 것으로 기억한다. 그러나 이렇게 늦게 승진한 것이 결코 나의 해양경찰 생활에 마이너스적인 요인만은 아니었다. 승진에 누락된 동료들의 애환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