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저널 이준석 기자 | 회색빛 하늘 아래 묵직한 철골 구조물이 강물 위에 서 있다. 수많은 세월과 역사의 굴곡을 버텨낸 이 다리는 바로 압록강 철교다. 한쪽은 중국 단둥丹東, 다른 한쪽은 북한 신의주新義州로 이어진다. 한때 열차가 달리고 인민들이 오가던 다리였지만, 지금은 절반만이 남아 있다. 강 건너편, 망원렌즈에 비친 북측 아파트 단지들은 정돈된 듯 보이지만 고요 속에 묘한 긴장감을 품고 있다. 강둑 아래로는 북한 군 초병이 보초를 서고 있다. 그들의 모습은 얼어붙은 강물처럼 굳어 있고, 압록강은 여전히 말없이 두 체제를 나눈다. 철길, 그리고 김정은의 행로 이 철교는 단순한 구조물이 아니다. 과거 김정일과 김정은이 북중 정상회담을 위해 오간 통로, 그리고 한반도의 정치 지형을 바꾼 ‘철의 외교 루트’이기도 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과거 이 다리를 통해 단둥으로 향했으며, 그 길을 따라 중국과의 관계를 다시금 확인했다. 철길은 이제 멈춰 있지만, 그 길 위엔 여전히 평화와 대화의 바람이 흐르고 있다. 강물은 국경을 가르지 않는다. 그저 묵묵히, 남과 북, 동과 서를 잇는 ‘청길靑吉’ 푸르고 복된 길을 꿈꾼다. 압록강, 분단의 상징에서 평화의 다리로 단
유엔저널 이미형 기자 | 충북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단재로 2776, 경찰항공대 입구로 진입하면 석양빛이 감싸는 고요한 산사의 품 안에 벽사초불정사 僻邪招佛精舍가 자리하고 있다. 지난 10월 1일, 이곳 벽사초불정사는 ‘천년 향화의 땅千年香火之地’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새로운 시대의 문을 여는 개방 행사를 열었다. 이번 개방은 무료로 시민들에게 개방되며, 사찰 경내와 전시관 곳곳에서 500여 점의 불교예술 및 민화 작품이 전시되고 있다. 예술과 신앙, 그리고 문화가 만나는 공간인 벽사초불정사는 단순한 사찰이 아니다. 이곳은 불법佛法과 예술이 만나는 복합문화공간이자, 기도와 관람, 수행과 치유가 함께 이루어지는 ‘마음의 미술관’이다. 전시 중인 작품은 불교 고승들의 친필과 법어, 전통 민화, 그리고 K-민화연구소의 현대 작품까지 아우른다. 각 전시실마다 빛·향·음성이 어우러져, 관람객은 자연스럽게 ‘불교적 예술명상’을 체험하게 된다. “모두에게 열린 산사, 모두의 향화” 벽사초불정사는 그 이름 그대로 ‘사악함을 물리치고辟邪, 부처의 빛을 맞이하는招佛 정사精舍’라는 뜻을 품고 있다. 이곳은 종교를 초월해 누구나 편히 들러 마음을 쉬어갈 수 있는 열린 도량으로 운영
유엔저널 이미형 기자 | 1905년, 일본 야스쿠니 신사의 어두운 철창 속에서 머리에 1톤의 돌을 이고 100년을 버틴 비석이 있었다. 그 이름은 바로 북관대첩비北關大捷碑이다. 임진왜란의 영웅 정문부(鄭文孚, 1565~1624) 장군의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세워졌던 전승비다. 이 역사적 비석이 2025년 10월 말, 마침내 청주 벽사초불정사僻邪招佛精舍(약칭 불정사)로 옮겨 영구히 전시된다. 이번 이전은 공익법인 담화문화재단과 북관대첩비민족운동중앙회 이사장 담화총사가 주관하고, 외교저널·유엔저널·시민행정신문·법왕청신문·K-컬처·K-민화·코리아컬처가 공동 후원한다. 민족의 자존, 철창 속의 비석에서 다시 서다. 북관대첩비는 임진왜란 당시 정문부 장군이 함경도 길주·백탑교 일대에서 가토 기요마사加藤清正의 왜병을 대파한 ‘북관대첩’을 기념하여 1709년(숙종 35년) 북평사 최창대와 길주 지역민들이 세운 전승비다. 그러나 1905년 러일전쟁 중, 일본군 제2사단장 이케다 쇼스케가 비석을 강탈해 일본으로 반출했고, 그 후 야스쿠니 신사 철창 속에 1톤의 돌을 얹은 채 100년 동안 전리품처럼 방치됐다. 이 수모의 역사는 2003년 초산 스님과 일본 가키누마 센신 스님
유엔저널 김동현 기자 | 대구지방교정청(청장대리 조형근)은 직원들로 구성된 ‘미소봉사단’을 통해 민족 대명절인 추석을 맞아 따뜻한 나눔 활동을 펼쳤다. 지난 1일, 미소봉사단은 대구시 내 사회복지시설인 ‘작은 예수의 집’을 방문해 정성을 모은 위문금을 전달하고, 시설 관계자 및 입소자들에게 따뜻한 격려의 마음을 전했다. ‘미소봉사단’은 대구지방교정청 전 직원이 참여하여 2010년 1월에 결성된 이후, 지역사회 내 도움의 손길이 필요한 독거노인, 장애인, 소년·소녀가장 세대 등 소외계층 지원과 장학 사업을 꾸준히 이어오고 있다. 특히 매년 명절과 연말에는 복지시설을 직접 방문하여 위문품과 후원금을 전달하며, 나눔과 봉사의 공직문화를 확산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작은 예수의 집’의 정미영 원장은 “유난히 긴 명절 연휴 동안 자칫 외로움을 느낄 수 있는 이웃들을 위해 따뜻한 마음을 전해주신 대구지방교정청 직원분들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고 전했다. 대구지방교정청 관계자는 “직원들의 작은 정성이 고금리·고물가로 어려움을 겪는 이웃들에게 따뜻한 위로가 되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공직자로서 지속적인 나눔 활동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