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저널 이길주 기자 | 불교인권위원회(공동대표 진관·도관)가 창립 35주년을 맞아 11월 20일 한국창극원 창덕궁소극장에서 기념식과 함께 제31회 불교인권상 시상식을 개최했다. 위원회는 앞서 11월 3일 충북 영동 대약사사 여래종 총무원에서 열린 불교인권상선정위원회(위원장 명안 스님)를 통해, 미전향 장기수 안학섭(96) 선생을 제31회 수상자로, 해병대 채 상병 순직사건의 진실을 밝힌 박정훈 해병대 대령을 2025년 인권공로상 특별 수상자로 선정했다. “인권은 인간만의 권리가 아니다. 위원회는 창립 이래 일관되게 불교의 자타불이自他不二 정신을 바탕으로 한 인권운동을 펼쳐왔다. 불교가 말하는 인권은 인간만의 전유물이 아니라, “유정·무정 일체 존재가 지닌 동일한 가치”에 대한 무한한 자비의 실천이다. 위원회는 “인권은 곧 수행이며, 개별 존재의 존엄을 밝히는 보살행”이라는 철학 아래, 현대사회 인권 문제 속에서 불교적 시선을 제시해 왔다. 제31회 불교인권상: 미전향 장기수 안학섭 선생은 6·25 전쟁 당시 포로로 잡혔으나, 제네바 협약이 규정한 인도적 송환의 기회를 얻지 못한 채 국가보안법 적용으로 42년 4개월 간 장기 구금되었다. 석방 이후에도 96세
유엔저널 김학영 기자 | 21세기 국제 질서의 중심축은 다시 과학으로 이동하고 있다. 특히 팬데믹 이후, 바이오 기술은 단순 산업을 넘어 안보·외교·경제 권력의 핵심 자원으로 자리 잡았다. 미국·유럽·중국은 이미 바이오 패권 경쟁으로 치닫고 있으며, 아시아 국가들 역시 국가 전략의 최상위에 바이오와 헬스케어 산업을 올려놓고 있다. 이 거대한 흐름의 한복판에서 대한민국의 바이오 산업 전략을 이끄는 중심축이 있으니, 바로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KBIOHealth)이다. 그 중심에는 정치·행정·보건의료 정책을 모두 경험한 이명수 이사장이 서 있다. 국가의 힘, 외교의 힘, 경제의 무기다코로나 19가 전 세계를 휩쓸던 시기, 국가 간 백신 협상은 ‘과학의 영역’을 넘어 외교적 협상력의 시험대였다. 그 과정에서 각국은 바이오 기술이 곧 국가의 생존, 즉 보건안보(Health Security)의 핵심임을 깨달았다. 이사장은 이를 명확히 짚으며 다음과 같이 말한다. “바이오는 미래 산업이 아닙니다. 이미 국제 정치의 중심입니다. 국가의 생명을 지키는 안보이며, 경쟁국과 협력국을 결정하는 외교의 언어입니다.” 이 시점에서 오송이 갖는 의미는 단순한 산업도시가 아니다. 오
유엔저널 이길주 기자 | 신뢰(Trust). 이 한 글자가 무너지면 아무리 강한 국력도 설득력을 잃고, 아무리 화려한 외교 메시지도 공허한 메아리로 돌아온다. 오늘날 국제사회는 각국의 이해가 복잡하게 얽혀 있다. 그만큼 ‘말과 행동의 일치’가 외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어느 때보다 크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겉으로는 협력을 말하면서도 속으로는 배타적 이익을 계산하는 ‘면종복배面從腹背’적 태도가 국제 관계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외교의 이중성은 비단 국가들 사이뿐 아니라 국내 정치와 사회에서도 반복된다. 공공의 자리에선 공정을 말하지만, 비공식 자리에서는 이익을 좇고, 표면적 합의 뒤에는 숨은 조건과 이중적 메시지가 뒤따른다. 이런 불일치는 결국 단기적 이익은 가져올지 몰라도 국제사회에서의 신뢰도와 국가 이미지는 결국 큰 상처를 입는다. 불교에서 말하는 삼업청정三業淸淨말·행동·뜻이 하나 되는 경지는 개인에게만 적용되는 수행의 원리가 아니다. 국가도 마찬가지다. 국가의 말이 행동과 다르고, 행동이 의도와 다르면, 그 국가는 신뢰받기 어렵다. 신뢰가 없는 국가는 외교의 무대에서 힘을 잃는다. 국가 이미지와 국제 신뢰도는 2025년을 사는 오늘날, 군사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