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저널 김지은 기자 | 원주문화재단과 뮤지엄SAN(한솔문화재단)은 올해 4월에서 9월까지 개최 예정인 「우고 론디노네 개인전」내 지역협력형 'Children's Drawings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실행한다. 'Children's Drawings 프로젝트'는 조각, 회화, 드로잉, 설치 작업 등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세계적 미술 흐름을 주도하는 스위스 작가 '우고 론디노네'가 '태양'과 '달' 등 주요 요소를 아이들의 생각과 태도로 희망적인 가치를 재발견해보고자 하는 실험적인 프로젝트이다. 작가의 지도 영상을 포함한 드로잉 클래스는 지역작가가 강사로 참여하여 2월 18일과 22일 각각 2회에 걸쳐 진행하며, 작가는 원주시 어린이들의 그림을 취합하여 본인 작품으로 종합 구성한다. 원주문화재단 관계자는 '관내 어린이들의 작품이 세계적인 작가 전시회에 함께 선보이게 되어 기쁘다. 참여 어린이들에게 좋은 추억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하며, '본 프로젝트를 시작으로 지역 내 학교, 유치원 및 어린이집, 돌봄센터 등과 네트워크를 공고히 하여 원주문화예술 저변 확대에 힘쓰는 문화재단으로 거듭나겠다.'고 전했다.
유엔저널 김지은 기자 | CJ프레시웨이가 연세암병원, 세브란스병원과 손잡고 '암 치료에 꼭 필요한 암 식단 가이드 2편'을 공동 출간했다. 지난 2009년에 이어 두 번째로 출간한 이 책은 암 환자를 위한 최신 영양관리 정보와 함께, 기존 독자들의 호응에 힘입어 전편보다 더 많은 식단 레시피를 새롭게 수록했다. 의료진, 영양사, 환자식 메뉴 전문가들이 공동 집필한 '암 식단 가이드 2편'은 항암치료에 도움이 되는 식사 기본 원칙, 증상별 식사 관리법, 식단 영양정보 및 준비사항, 영양 식단 레시피 등 총 4개 파트로 구성됐다. CJ프레시웨이는 병원 환자식 운영 전문성과 최신 식문화 트렌드를 기반으로 밥, 죽, 국수, 일품요리, 간식, 어린이 메뉴 등 6개 카테고리로 총 98가지의 요리 레시피를 개발했다. 모든 레시피는 필수 영양소를 고루 갖춘 고단백 식단으로 구성했으며, 음식 섭취에 어려움을 겪는 암 환자를 위해 맛과 편의성도 함께 고려했다. 특히 이번 편에는 어린이 맞춤 레시피도 추가로 포함해 소아암 환우의 건강한 식생활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밖에도 암 식단 가이드에서는 암 환자를 위한 영양지침 등 식사 기본 원칙과 항암치료 시 나타날 수 있는 식욕부진, 오심,구토 등 증상별 식사 요령을 제시한다. 항암효과가 높다고 알려진 식재료 정보는 물론, 레시피 요리에 필요한 재료 계량법, 소스,드레싱 만드는 법 등도 소개하고 있다. CJ프레시웨이는 지난 2007년 국내 최초로 병원급식 해썹(HACCP) 인증을 획득하고, 2012년에는 업계 최초로 병원 전담 조직을 설립해 환자식, 치료식 개발을 본격화하는 등 전문성을 지속 강화해오고 있다. 특히 암 병원 급식 현장에서 암 전문 식단을 주기적으로 개발 운영하고, 개인별 맞춤 치료식과 영양 컨설팅을 제공하는 등 차별화된 영양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CJ프레시웨이 관계자는 '대학병원과의 협업을 통해 암 환자별 상황과 니즈에 맞춰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활용할 수 있는 식단 가이드를 마련했다'며 '병원식 운영 역량과 노하우를 기반으로 앞으로도 암 환자분들의 빠른 쾌유와 일상 회복을 돕는 영양 치료 도우미로서 역할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CJ프레시웨이는 이번 암 식단 가이드 외에도 세브란스병원 등과 협업을 통해 지난 2011년부터 위암, 당뇨병, 고혈압, 대사증후군 등 질환별 전문 식사 가이드를 출간해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하는 등 건강한 식문화 전파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유엔저널 이존영 기자 | SM엔터테인먼트(이하 SM, 대표: 장철혁)의 음악 퍼블리싱 자회사 크리에이션뮤직라이츠(Kreation Music Rights, 이하 KMR)가 지난해 9월 설립된 이후 인재 채용 및 시스템 구축을 마치고, 본격적인 영업활동에 나섰다. 음악 퍼블리싱이란 창작가(작곡가 및 작사가)와 퍼블리싱 계약을 맺고 엔터테인먼트기업 및 드라마, 영화, 게임, 광고 제작사 등 곡을 필요로 하는 곳에 곡을 공급하며 저작권료 등 계약 작가들의 창작활동에서 발생한 수익의 일부를 수수료로 취하는 사업을 말한다. 즉 SM의 핵심 사업이 아티스트 매니지먼트 사업이라면, KMR은 창작가 매니지먼트 사업을 영위하는 셈이다. KMR은 SM 뿐 아니라 다른 엔터테인먼트 기업 등에도 양질의 곡을 공급하기 위해 글로벌 최상위 작가 영입을 최우선 목표로 하고 있으며, KMR은 지난 1월 말까지 5개월 간 총 86인의 창작가와 계약했다. 작년 12월에는 유럽 지역의 재능 있는 창작가 영입을 위해 스웨덴 스톡홀름에 유럽법인도 설립했으며, 소녀시대 '소원을 말해봐', 태민 'Want', NCT DREAM 'ISTJ' 등을 만든 Dsign Music(디자인 뮤직), 레드벨벳 'Psycho', NCT 127 '질주', 에스파 'Spicy' 등을 만든 Sunshine(선샤인) 등 세계적인 창작가팀과 유럽 법인이 계약을 체결하는 등, 수년 간 SM 및 K-POP 대표 아티스트의 곡을 작업해온 창작가들을 대거 영입해 유럽 지역까지 그 영역을 확대하겠다는 전략이다. 또한 KMR은 북미 지역 법인 설립 및 파트너십을 통해 북미 지역 창작가 영입에도 나설 예정이다. 이를 통해 SM과의 시너지를 극대화하고 K-POP 퍼블리싱 시장 내 시장 지배력을 빠르게 확보할 계획으로, SM은 '향후 5년 내 KMR을 아시아를 대표하는 음악 퍼블리싱 회사로 성장시키겠다'고 밝혔다. 현재 KMR은 자사 계약 작가 외에도 스매시히트(총괄프로듀서 강타) 모노트리(총괄프로듀서 황현), 더허브(총괄프로듀서 유병현)등 3개의 프로덕션팀이 CIC(사내독립기업, company in company) 형태로 속해 있으며, 향후 신규 파트너 영입과 투자를 통해 CIC 수를 확대할 방침이다. 스매시히트는 강타 총괄프로듀서를 필두로 국내 작곡가 총 20명으로 구성됐다. 황현, 유지상(G-HIGH), 이주형 등 국내 스타 창작가 등으로 구성된 모노트리는 지난해 KMR에 인수된 뒤 5명의 창작가를 추가 영입해 계약 창작가만 총 33명이 됐다. 모노트리는 지난 2014년 설립된 이후 총 46개 레이블에서 곡을 발매했으며, 현재 한국음악저작권협회에 등록된 모노트리 곡 수는 총 603곡이다. 황현 프로듀서는 아이브의 'Kitsch', 세븐틴 '좋겠다', 온앤오프의 '바람이 분다', 이주형 프로듀서는 적재의 '타투', 태연의 'Do You Love Me?' 등 여러 히트곡들을 작곡한 바 있다. 더허브는 유병현 대표가 이끄는 프로덕션 팀으로, 유 대표를 제외한 전원이 20대의 외국인으로 구성되어있으며, 2020~2023년까지 연평균 약 53%의 매출 성장률을 보인 신성팀이다. 더허브는 KMR 합류 이후 총 5명의 프로듀서를 추가 영입해 창작가는 총 13명으로 늘었으며, 최근 4년간 더허브에서 작업한 발매곡 중 29곡이 인기 K-POP 아티스트의 타이틀 곡으로 발매됐다. 유 대표는 최근 엔믹스(NMIXX)의 'Soñar(Breaker)'와 'Break The Wall'을 작곡했다. 더불어, KMR은 첫 번째 아티스트로 SM 연습생 출신이자 스트레이키즈 멤버로 활동한 바 있는 김우진을 영입해 KMR에서의 첫 앨범을 올 상반기 발매하며, 추가로 올해 2팀 이상의 아티스트를 선보일 계획이다. KMR은 지난해 텐엑스(10X)엔터테인먼트의 사업을 양수하면서 아티스트 김우진의 전속계약권을 인수한 바 있다. SM은 '올해는 한국, 유럽, 미국 등 글로벌 최상위 작가 영입이 주된 목표'라며 'KMR이 보유한 다수의 프로듀서와 우수한 제작 역량을 바탕으로 아티스트 매니지먼트 사업까지 진출해 SM 3.0 전략 중 '멀티 레이블' 전략을 KMR에서 구체화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제공=에스엠엔터테인먼트]
유엔저널 김지은 기자 |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연필로 명상하기'는 LA 한국문화원에서 '한국 단편문학 애니메이션 시리즈: 안재훈 감독 영화 상영회'가 3월에서 5월에 걸쳐 총 네 차례 개최된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상영회에서는 3월 6일(수) 저녁 7시 안시국제애니메이션페스티벌 수상작 '무녀도'를 시작으로 3월 27일(수) '소나기', 4월 17일(수) '메밀꽃','운수 좋은 날','봄봄', 마지막으로 5월 8일(수) '소중한 날의 꿈'까지 안 감독의 작품을 3개월에 걸쳐 상영된다. 특히 '무녀도'가 상영되는 3월 6일은 행사 개막을 기념해 안재훈 감독과의 대화를 진행할 예정이다. 안 감독, 그리고 한국 고유의 빛깔을 만나볼 수 있는 이번 상영회는 LA 현지인 등을 대상으로 무료 개최될 예정이며, LA 한국문화원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 예약을 신청할 수 있다. 이번 상영회로 작품을 선보이는 안재훈 감독은 1992년 애니메이터로서 활동을 시작해 '히치콕의 어떤 하루(1998)'로 감독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이후 '뽀롱뽀롱 뽀로로'의 콘티 연출을 맡고 '모험왕 장보고' 등 아동용 어린이 애니메이션 제작에 참여하는 가운데 감독작 '순수한 기쁨'을 연이어 공개했으며, '관&운'과 '그랜드 체이스' 등 게임과 뮤직비디오의 장르를 넘나들며 활발한 제작을 이어왔다. 안재훈 감독은 당시 국내외 신드롬을 일으켰던 드라마 '겨울연가'의 TV 시리즈 애니메이션화와 '미안하다, 사랑한다'의 OVA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며 큰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2011년에는 안재훈 감독의 첫 장편 애니메이션이자 시대 3부작 중 '과거'에 해당하는 작품 '소중한 날의 꿈'을 개봉했다. 연이어 한국단편문학 프로젝트로 '메밀꽃, 운수 좋은 날, 그리고 봄봄'(2014), '소나기'(2017), '무녀도'(2021)를 개봉했다. 안 감독은 차기작으로 시대 3부작의 '현재'인 '살아오름: 천년의 동행'과 구병모 작가의 원작 '아가미' 제작을 진행 중이다. 정상원 LA 한국문화원 원장은 '한국 단편 문학 소설을 기반으로 제작된 한국 애니메이션 영화 시리즈를 미 현지 관객과 교민, 그리고 자라나는 한인 청소년들에게 소개할 수 있어서 의미가 남다르다'며 '해외에서도 저력을 인정받고 있는 감독의 한국 애니메이션 시리즈를 통해 한국 고유의 정서와 전통문화 속 아름다운 색채를 느껴보시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미국 최다 학생 수를 자랑하는 명문 캘리포니아주립대학에서도 '한국을 담은 애니메이션과 안재훈 감독(Korea animation with Director Jae-Huun Ahn)' 상영회가 개최된다. 이번 상영회는 안재훈 감독의 극장용 애니메이션 네 편에 더해 모든 상영회에서 감독과의 대화를 진행한다. '한국을 담은 애니메이션과 안재훈 감독' 상영회는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샌버나디노 예술 및 문학 대학(College of Arts and Letters at California State University, San Bernardino) 주관,주최로 3월 5일(화)부터 8일(금)까지 나흘 간 진행된다.
유엔저널 김지은 기자 | 서울문화재단(대표이사 이창기)이 '2024 서울메세나 지원사업'에 참여할 기업 및 예술단체를 2월 19일(월)부터 3월 15일(금)까지 모집한다. '서울메세나 지원사업'은 서울문화재단이 2012년부터 진행해 온 사업이다. 기업이 예술단체에 기부금을 내면 그에 따라 최대 100% 대응하는 '재단매칭지원금'(최대 2000만원)을 서울문화재단이 추가 지원해 예술단체의 안정적인 창작 활동을 후원한다. 이 사업은 기업의 사회 공헌 활동을 촉진하고 예술단체의 창작 동력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예술 생태계 기반을 다지는 효과적인 민,관 협력 사업 모델로 꼽힌다. 지난해 서울메세나 지원사업을 통해 기업 기부금 4억5000만원과 재단매칭지원금 3억4000만원, 총 7억9000만원이 27개 예술단체에 전달됐다. 이 후원으로 다양한 문화예술 행사들이 시민과 만날 수 있었다. 올해도 예술 단체 중 서울 발표 예정 △연극 △무용 △음악 △전통 △다원 △시각 △문학 분야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중소,중견,대기업 또는 공기업으로부터 500만원 이상의 기부금 제공이 확정된 단체는 사업에 참여해 예술 활동을 지원 받을 수 있다. 지난 10년간 서울메세나 지원사업을 통해 기부된 기업후원금 총액은 약 44억원으로, 175개 참여 기업이 총 243개 예술 프로젝트를 후원했다. 특히 연간 점점 증가하는 기업의 사회 공헌에 대한 관심도가 주목할 만한데, 2023년 사업 신청 건수는 76건으로 5년 전 2018년 대비 2배 증가한 수치다. 이창기 서울문화재단 대표이사는 '최근 기업들의 메세나 활동에 대한 관심과 수요를 느낀다. 재단이 기업과 함께 문화예술 사회공헌을 점차 확대해 나가면 공공재원만으로는 턱없이 부족한 예술계에 든든한 버팀목이 될 것'이라며 기업과 협력해 지속 가능한 창작 환경을 만들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서울메세나 지원사업과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서울문화재단 누리집(www.sfac.or.kr)의 '공모신청→지원사업 공모'에서 확인할 수 있다.
유엔저널 김지은 기자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 이하 문체부)와 예술경영지원센터는 오는 3월 14일(목)까지 '2024 예술분야 창업기업 지원사업'에 참여할 창의적이고 지속 가능한 사업 모델을 보유한 예술분야의 창업기업 110개사를 모집한다. 예술경영지원센터는 예술분야 창업기업 성장 단계에 따른 맞춤 지원을 위해 '초기창업'과 '창업도약'의 단계를 구분해 모집한다. 초기창업은 예비창업자 및 업력 3년 미만 예술기업, 창업도약은 업력 3년 이상 7년 이내 예술기업을 대상으로 한다. 선정된 기업은 사업화자금 지원과 창업교육 컨설팅, 외부자원 연계 등 기업 성장을 위한 밀착형 프로그램을 제공받는다. 창업보육 프로그램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2월 23일(금) 사업 설명회(온,오프라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신청 기업은 주력 사업분야에 따라 예술분야 기획,제작, 예술분야 유통,배급, 예술분야 서비스, 글로벌 시장확대 부문을 선택해 신청할 수 있으며, 예술경영지원센터 누리집(https://www.gokams.or.kr) 내 공지사항을 통해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참가를 희망하는 창업자는 3월 14일(목) 오후 3시까지 e나라도움 누리집(https://www.gosims.go.kr)을 통해 온라인으로 서류를 제출하면 된다. 심사는 1차 서류 심사와 2차 발표 심사 방식으로 진행되며, 최종 결과 발표는 4월 말쯤 최종 발표한다.
유엔저널 김지은 기자 |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이 2월 22~25일 장애예술과 기술이 어떻게 조우할 수 있을지 끝없이 고민하고 도전했던 여정을 'Future Wide Open' 쇼케이스에서 선보인다. 'Future Wide Open : 2023 신기술기반 장애예술 창작실험실'(이하 Future Wide Open 2023)은 장애예술과 기술의 융합을 통해 동시대를 고찰하고, 예술의 지평을 확대하고자 시작됐다. 2023년 9월부터 2024년 2월까지 약 6개월간 장애감수성 및 장애감각을 주제로 기술융합 장애예술 작품개발을 다각도로 지원했으며, 장애예술인의 표현력 제고를 위한 신기술 창작도구를 개발했다. 참여 예술인의 고유한 감각세계를 드러내는 작품과 저명한 해외 초청작, 확장된 시선의 창작도구, 융복합 장애예술의 담론을 형성하는 토크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만나볼 수 있다. Future Wide Open 2023에 참여한 예술인들은 기술을 탐구하는 '신기술활용 워크숍'과 주제의식을 고민하는 '창,제작 멘토링'을 통해 작품을 발전시켰다. 보기엔 익숙하면서도 다루기엔 낯선 기술이 장애예술과 어떻게 조우할 수 있을지 끝없이 고민하고 도전하는 시간으로 과정에 가치를 두고, 개별성과 다양성을 존중하며, 서로 도우며 함께 성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으며, 총 10개 프로젝트의 과정과 결과를 선보이는 쇼케이스를 마련했다. Future Wide Open 2023은 기술융합 장애예술 창작 과정을 공유하는 쇼케이스다. '모두에게 열려있는'이라는 의미의 'Wide Open'과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Future'를 더한 'Future Wide Open'은 누구나 제약 없이 실험하고 창작하는 미래를 기대한다. 첫 번째 'Future' 섹션에서는 미래 가능성을 탐구한다. 참여 예술인의 다채로운 작품과 그들이 감각하는 고유한 세계를 통해 장애예술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시한다. 두 번째 'Wide'는 확장 가능성을 모색하는 섹션으로, 저명한 해외 초청 작품과 창작도구의 개발 과정을 선보임으로써 신기술기반 장애예술의 확장된 시선과 방법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Open'은 지속 가능성을 도모하는 섹션으로, 융합 장애예술 담론을 형성한다. 누구나 들어와 탐구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관람객을 초대하는 토크로 구성돼 있다. 2월 23일 전맹 미술 감상자 시라토리 겐지(白鳥建ニ)와 함께하는 감상 워크숍 '보이지 않을 때 볼 수 있는 것'과 라운드 테이블 '보이지 않는 너머를 함께 이야기 하다'로 구성돼 있으며, 2월 24일에는 참여 예술인과 테크 메이트 및 멘토가 함께하는 '기술로 감각하는 장애예술' 라운드 테이블도 진행될 예정이다. 더 자세한 사항은 웹사이트(www.moduarttheater.or.kr/product/performance/252831)와 인스타그램(www.instagram.com/future_wide_open)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유엔저널 김지은 기자 | 디지털 디자인 산업을 선도하는 디스트릭트가 제작한 몰입형 미디어아트 전시관 '아르떼뮤지엄'이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 2월 19일(현지시각) 정식 개관한다. 두바이몰 2층에 약 900평 규모로 마련된 '아르떼뮤지엄 두바이(ARTE MUSEUM DUBAI)'는 한국에서 인기를 끈 작품들과 두바이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신작을 포함해 총 14개의 고품격 미디어아트 작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번 개관은 아시아와 미국에 이어 중동 지역 첫 진출이며, 해외에서는 네 번째로 선보이는 상설 전시다. 두바이는 아랍에미리트 최대 도시이자, 세계 최고 높이를 자랑하는 마천루 '부르즈 할리파(Burj Khalifa)'와 세계 최고 높이의 대관람차 '아인 두바이(Ain Dubai)'를 포함한 세계적인 랜드마크가 집결된 관광 명소다. 특히 연간 1억 명 이상이 방문하는 두바이몰은 관광 및 유통 산업의 중심지로, 아르떼뮤지엄 두바이는 이곳에 입점함으로써 전 세계 관광객들에게 독특하고 차별화된 몰입 경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르떼뮤지엄 두바이는 기획 전시 공간인 'GARDEN'에 두바이의 도시 경관을 미디어아트로 재해석한 △라이트 오브 두바이(LIGHT OF DUBAI)를 전시하며, 사막의 절경과 지역을 대표하는 동물들을 모티브로 한 참여형 전시 △라이브 캔버스 '데저트'(LIVE CANVAS 'DESERT')를 새롭게 공개한다. 이외에 국내외에서 사랑받은 △비치 '오로라'(BEACH 'AURORA') △플라워 '카멜리아'(FLOWER 'CAMELLIA') 등 총 14개의 작품을 선보인다. 아울러 아르떼뮤지엄은 세계적인 음악감독 장영규가 제작한 감각적인 사운드와 프랑스 최고의 조향 학교 GIP (Grasse Institute of Perfumery)의 수석 교수 겸 조향사 Marianne Nawrocki Sabatier와의 협업을 통해 개발된 향기로 관람객에게 오감을 만족하는 경험을 선사할 계획이다. 디스트릭트 이성호 대표는 '세계 각지에서의 뜨거운 관심과 응원에 힘입어 아르떼뮤지엄을 중동 지역에도 선보이게 돼 감회가 새롭다'며 '시각, 청각, 후각을 아우르는 가상의 자연을 경험할 수 있는 아르떼뮤지엄의 독보적인 경험이 두바이 시민과 전 세계 방문객들에게 즐거움과 휴식을 제공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아르떼뮤지엄 두바이의 입장권 가격은 평일 성인 기준 109디르함(AED)부터며, 티켓 구매처와 전시에 관한 더 많은 정보는 아르떼뮤지엄 두바이 공식 홈페이지(https://dubai.artemuseum.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아르떼뮤지엄은 이제까지 국내외에서 약 640만 명의 관람객과 만나며 글로벌 전시 브랜드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하고 있다. '영원한 자연(ETERNAL NATURE)'이라는 주제를 다감각적으로 풀어낸 국내 최대 규모 미디어아트 전시관이자 디스트릭트의 혁신적인 기술과 미감이 결합된 공간으로, 국내에는 제주,여수,강릉에 위치해 있으며 매년 약 200만 명 이상의 관람객이 방문한다. 디스트릭트는 이번 두바이 개관에 이어 올해 2분기 중 부산 영도에 국내 네 번째 전시관 '아르떼뮤지엄 부산'을 개관할 예정이며, 2026년까지 전 세계 주요 도시에 약 20개의 아르떼뮤지엄 확산을 목표로 순조롭게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유엔저널 김지은 기자 | 슈가레코드 소속 주목받는 신예 싱어송라이터 찬민(CHANMIN)이 상반기 발매 예정 EP 선공개 곡이자 첫 싱글 'LAST PARADE'를 2월 19일 월요일 정오에 발매한다. 찬민은 2022년 4월 고등학교 2학년 재학 중 17세의 나이로 데뷔했다. 작사,작곡,편곡에 믹스마스터까지 셀프 프로듀싱해 발표한 앨범 'THEBLUETAPE'의 타이틀 곡 '파도'로 유튜브 플레이리스트 등을 통해 소개되며 많은 사랑을 받았으며, 올해 상반기 EP 발매를 준비하는 등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한다. LAST PARADE는 찬민이 10대의 마지막을 보내는 동안 발표될 EP의 선공개 곡이다. '파도'와 마찬가지로 작사,작곡,편곡,연주 전 과정 찬민의 셀프 프로듀싱으로 제작됐다. 곡은 '끝은 곧 희망이고 새로운 시작'임을 노래한 가사가 인상적이라는 평이다. 찬민은 이 노래에서 '어떻게 살아갈 것인지', '세상의 흐름에 순순히 몸을 맡길 것 인지', '벼랑 끝에서 무릎 꿇어도 무너지지 않는 사람이 될 것 인지'라고 말한다. 노래는 가사를 통해 찬민의 고뇌를 캔버스에 다양한 색을 붓질한 듯 중의적이고 섬세하면서도 폭넓게 표현한다. LAST PARADE의 사운드는 락킹하면서도 감성적이고 섬세한 구성으로 됐다. 공허한 신디사이저로 시작해서 읊조리는 듯한 보컬, 어그레시브 한 드럼, 기타 사운드가 곡의 중심으로 어우러진다. 노래 후반부 등장하는 인상적인 스트링 섹션은 곡이 끝난 후에도 입가에 맴도는 중독성 강한 멜로디 라인을 그린다. 믹싱은 한영애,김연우,모브닝 등 실력파 뮤지션을 담당한 경력이 있는 프로듀서 이은규와 MAMA 어워즈 엔지니어상 수상에 빛나는 감독 고현정이 맡았다. 마스터링은 821사운드가 담당했다. 찬민은 이번 싱글 발표를 시작으로 2024년 동안 다양한 음악적 표현을 선보이는 등 자신의 행보에 대한 대중의 기대를 충족할 예정이다.
유엔저널 이존영 기자 | '글로벌 히트메이커' 에스파(aespa, 에스엠엔터테인먼트 소속)가 두 번째 월드 투어로 2024년 '열일' 행보에 시동을 건다. '2024 aespa LIVE TOUR – SYNK : Parallel Line'(2024 에스파 라이브 투어 – 싱크 : 패러렐 라인)은 오는 6월 29~30일 서울 공연을 시작으로 7월 6~7일 후쿠오카, 10~11일 나고야, 14~15일 사이타마, 20일 싱가포르, 27~28일 오사카, 8월 3일 홍콩, 10일 타이페이, 24일 자카르타, 31일 시드니, 9월 2일 멜버른, 21일 마카오, 28~29일 방콕 등 아시아 및 호주 총 13개 지역에서 펼쳐질 예정이다. 이번 공연은 다면화된 평행 세계관으로 확장되는 에스파의 새로운 세계관에서 착안한 콘셉트로 진행되어, 더욱 업그레이드된 퍼포먼스와 화려한 스케일의 연출로 음악 팬들의 뜨거운 반응을 얻을 것으로 보인다. 에스파는 지난해 첫 월드 투어 'aespa LIVE TOUR 2023 'SYNK : HYPER LINE''(에스파 라이브 투어 2023 '싱크 : 하이퍼라인')을 개최, 북미, 유럽, 아시아를 포함해 전세계 21개 지역에서 31회 공연을 성황리에 펼치며 고퀄리티 무대로 독보적인 퍼포먼스 역량을 입증했던 만큼, 이번 두 번째 월드 투어로 보여줄 새로운 모습에도 기대가 모인다. 한편, 에스파는 오는 21~22일 양일간 일본 도쿄돔에서 개최되는 'SMTOWN LIVE 2024 SMCU PALACE @TOKYO'(에스엠타운 라이브 2024 에스엠씨유 팰리스 @도쿄)에 참여한다. [출처] 에스엠엔터테인먼트
유엔저널 이존영 기자 | 아티스트 겸 프로듀서 지코(ZICO)가 가요계 대표 팔방미인다운 면모를 자랑했다. 지코는 지난 17일 방송된 MBC 예능 프로그램 '전지적 참견 시점'에 출연했다. MC들은 오랜만에 관찰 예능에 출연한 그를 환하게 반기며 '요즘 가수들이 컴백하면 하는 댄스 챌린지 시초가 지코 씨다. 심지어 '킬링 파트'라는 단어를 만든 것도 지코 씨'라고 소개했다. 이날 방송에서는 후배를 살뜰히 챙기는 'MZ 프로듀서'와 '톱 티어' 아티스트를 오가는 지코의 일상이 돋보였다. 가수와 제작자로서 본업에 열중하는 그의 '일잘러' 매력이 빛났다. 지코는 자신이 설립한 KOZ 엔터테인먼트(이하 KOZ)로 출근하기 위해 서울시 용산구에 있는 하이브 사옥으로 향했다. 지코는 'KOZ를 운영한 지 2년 정도 지났을 때 방시혁 의장님께 연락받았고, 만나서 무엇을 하고 싶은지, 어떤 취지로 회사를 만들었는지 설명드렸다. (이야기를 다 들은 방 의장님은) '크리에이터로서 자질이 충분하다. 회사를 운영하는 것은 다르기 때문에 하이브 시스템 안에서 시너지를 내보자'라고 제안하셨다'라고 과거를 떠올렸다. 사옥에 도착한 지코는 먼저, 4월 컴백을 앞둔 보이넥스트도어(BOYNEXTDOOR) 관련 회의에 참여했다. 그는 준비 중인 콘텐츠의 디테일을 날카롭게 피드백하는 등 KOZ 대표 프로듀서로서 치열한 모습을 보여줬다. 반면 보이넥스트도어 멤버 명재현, 이한과 만나 이야기를 나눌 때 그는 오랜 아이돌 경력을 바탕으로 편하게 소통하며 친근한 'MZ 프로듀서'로 다가갔다. 보이넥스트도어는 KOZ에서 지난해 처음 선보인 보이그룹으로, 데뷔 112일 만에 미국 빌보드 메인 앨범차트 '빌보드 200'에 진입하는 등 가파른 성장세를 자랑한다. 이후 '톱 티어' 아티스트 지코의 일상이 그려졌다. 가수 지코를 위한 회의에서는 올해 음악 활동에 관한 이야기가 오갔다. 지코는 상반기에 싱글을 내기 위해 준비 중이며 '2월 안에는 곡을 다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또한, 가수로서 작년보다 더 활발한 활동을 예고해 기대감을 키웠다. 모든 회의를 마친 지코는 공연장으로 향해 플레이어로서 관중 앞에 섰다. 그는 '히트곡 부자'답게 관객들의 떼창을 끌어내며 '공연 장인'의 존재감을 뽐냈다. [출처=KOZ 엔터테인먼트]
유엔저널 김지은 기자 |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2월 19일 오후 2시 국립고궁박물관(서울 종로구)에서 캄보디아 앙코르유적 보존,관리를 전담하는 캄보디아 정부기구인 압사라청(APSARA National Authority, 청장 행 뽀우(Hang Peou)), 앙코르와트 보존복원사업 수행기관인 한국문화재재단(이사장 최영창)과 대한민국-캄보디아 문화유산 분야 고위급 회담을 갖고, 문화유산 분야 교류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다. 이번 양해각서는 작년 2월 캄보디아 시엠립에서 발표한 「대한민국 문화재청과 캄보디아왕국 압사라청 간 공동 보도문」의 후속조치로, 올해부터 착수 예정인 캄보디아 앙코르와트 보수정비 사업에 대한 협력을 비롯해 ▲ 문화유산 보존,관리,활용,디지털화 등 축적된 기술,경험,정보 공유 ▲ 연수회(워크숍) 등 행사 개최, ▲ 초청연수 등 인력 개발, ▲ 공동조사,연구 및 전시회 개최, ▲ 문화유산 정책,제도,관리 등을 내용으로 한다. 특히, 캄보디아 앙코르와트는 캄보디아 국기에도 새겨진 상징적인 유적으로, 문화재청은 이번 양해각서 체결을 계기로 앙코르와트 보존복원사업에 참여하게 되었다. 이번 사업은 2024년부터 2026년까지 3년간, 앙코르와트 바칸 북동쪽 기단부에 대한 보수정비와 앙코르와트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을 위한 관람용 계단, 홍보관 건립 등 관광시설을 정비하는 방향으로 추진된다. 문화재청은 이번 사업이 대한민국 문화유산 분야의 국제개발협력(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역사의 한 획을 긋는 사업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문화재청은 앞으로도 페루 마추픽추, 아프리카 등으로 문화유산 분야의 국제개발협력 사업 대상 국가를 선진적,전략적으로 확대해나가고자 하며, 이를 통해 문화유산 분야의 국제개발협력 사업을 선도하는 글로벌 중추국가로서 역할을 강화해나갈 수 있도록 적극행정을 이어갈 것이다.
유엔저널 이존영 기자 | 외교부는 16일오후 조태열 장관 주재로 "외교부 2030 자문단" 출범식을 개최했다. "외교부 2030 자문단"은 청년의 국정 참여 기회를 확대하는 정부 기조에 따라 주요 외교 정책 수립과정에서 청년들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한 창구로서 도입되었으며, 다양한 경력과 경험을 가진 청년 23명이 공개모집 결과 선발됐다. 조태열 장관은 환영사에서 2030 자문단에 선발된 것을 축하하고, 2030 자문단의 구성으로 외교부가 청년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것을 넘어, 청년을 우리 외교 정책에 참여시키는 통로가 마련되었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지정학적 대전환의 시기에 자문단 모두가 사명감을 갖고, 한국 외교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 거시적인 관점에서 창의적인 의견을 개진해 달라고 당부했다. 특히, 국제사회가 바라보는 명실공히 선진국으로서의 우리나라의 모습과 우리 스스로의 자아상 간 간극을 메꾸기 위해서도 적극 노력해 주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외교부 2030 자문단은 향후 1년간 공공외교·홍보, 국제개발협력, 재외동포·영사 등 3개 분과별로 청년 세대의 여론을 수렴하여 외교부에 전달하고, 청년의 시각에서 정책을 제언하는 활동을 하게 된다. 자문단장은 지난해 12월 임용된 외교부 청년보좌역(이시라)으로, 이시라 청년보좌역은 유엔자원봉사단(UNV) 등 경력을 바탕으로 외교부 정책에 대한 청년 세대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전달할 예정이다. 외교부는 2030 자문단을 통해 수렴된 청년 세대의 의견이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예정이다.
유엔저널 이존영 기자 | 외교부는 2. 16.(현지시각) 뉴욕에서 유엔 인도지원조정실(Office for the Coordination of Humanitarian Affairs, OCHA)과 제7차 한-OCHA 정책협의회를 개최하였다. 우리측에서는 원도연 개발협력국장, OCHA측에서는 조이스 음수야(Joyce Msuya) 사무차장보가 수석대표로 참석했다. OCHA는 국제사회가 보다 효과적인 인도적 지원을 할 수 있도록 인도주의 정책 개발, 인도주의 기구들 간 활동 조정 등을 수행하는 유엔 기구이다. 한-OCHA 정책협의회는 2013년 외교부와 OCHA 간 체결한 협력 MOU에 근거하여 2015년부터 정기적으로 개최중에 있다. 이번 회의에서 양측은 분쟁 및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인도적 위기가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OCHA의 조정 능력이 중요하다는 데에 의견을 함께하며, 인도적 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구체 협력 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였다. 또한, 한국의 2024-2025년 안보리 비상임 이사국 수임 계기 인도적 지원 분야 한-OCHA간 전략적 협력 방안 등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원도연 국장은 글로벌 중추국가 비전을 실현하고 우리의 국격과 위상에 걸맞은 수준으로 국제사회에 기여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하고, 인도적 지원 집행관리 강화를 위해 OCHA를 비롯하여 주요 인도주의 기구와 전략적 협력관계를 종합적으로 점검하고, 인도적 지원의 효과성을 제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음수야 사무차장보는 전례 없는 인도적 위기 속에서 인도적 지원을 강화하고 있는 우리 정부의 노력을 높이 평가하며, 한-OCHA 협력관계가 더욱 발전하고 있다고 하였다. 또한, ▲2023-26년 OCHA 전략계획 우선순위, ▲보다 효율적이고 수요자 중심인 인도적 지원을 위한 OCHA측 개혁 조치, ▲기후변화로 인한 재난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중앙긴급대응기금(CERF)내 창설돤 기후행동 계정(Climate Action Account) 등을 소개했다. 아울러, 양측은 우크라이나, 미얀마, 수단 등 전 세계의 인도적 상황 및 향후 전망에 대해서 의견을 교환하고, 대한민국 해외긴급구호대(KDRT) 파견 관련 현장 조정 등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협력은 물론, 환경 재난 분야 전문가 교류 등 새로운 방안에 이르기까지 재난 대응 분야에서 다양한 협력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또한, 우리 국민 OCHA 진출 확대 및 우리 기여 가시성 제고 등을 위해 함께 노력해 나가기로 했다. 이번 정책협의회는 2주년을 앞둔 우크라이나 전쟁 등 분쟁과 기후변화로 인한 복합적 인도적 위기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우리 정부가 인도적 지원의 양적·질적 확대를 통해 국제사회에 대한 기여 확대를 추진 중인 가운데 시의 적절하게 개최되었으며, 국제사회 인도적 지원에 대한 조정을 담당하는 OCHA와의 전략적 협력을 심화시키는 계기가 된 것으로 평가된다.
유엔저널 김지은 기자 | 교과서 발행 부수 1위 기업 미래엔의 성인 단행본 출판 브랜드 와이즈베리가 '수학이 좋아지는 스탠퍼드 마인드셋'을 출간한다. '수학이 좋아지는 스탠퍼드 마인드셋'은 전 세계 많은 학생이 왜 그렇게 수학을 싫어하고 쉽게 포기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우리에게 만연한 수학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고, 수학의 잠재력과 자신감을 올리는 명확한 방법을 담은 책이다. 2017년 출간한 '스탠퍼드 수학공부법'에 최신 연구 결과와 사례를 전면 업데이트해 새롭게 출간된 이 책은 수학 성적은 타고난 지적 능력이 아닌 마인드셋에서 비롯됨을 증명하고, '성장 마인드셋'이라는 개념을 제시하며 스스로 수학적 사고력을 키울 수 있는 실용적, 효율적 방법을 알려준다. 저자인 조 볼러 교수는 스탠퍼드 대학교 수학교육학과 교수이자 수학 교육계의 퀴리 부인으로 불리는 인물로, BBC가 발표한 '교육계의 판도를 바꾼 8인'에 선정된 교육자다. 볼러 교수는 책에서 '고정 마인드셋'과 '성장 마인드셋'이라는 개념을 소개하며 수학은 타고난 재능이 있어야 한다고 여기는 고정 마인드셋을 타파하고, 누구나 수학을 잘할 수 있다는 성장 마인드셋을 심어 수학 공부에 대한 접근 방식을 바꿔야 한다고 강조한다. 수학을 재미없고 하기 싫은 과목이 아닌 좋아하는 과목으로 만듦으로써 수학이 즐거워지는 '진짜 수학 공부'로 나아갈 수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이 책은 스탠퍼드 대학교 교수와 연구진이 직접 초중고 교실에서 실행해 보면서 학생들의 변화를 확인한 성장 마인드셋 전략을 실제 교실과 가정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교육법, 학습법, 수학 과제들로 상세히 담고 있다. 볼러 교수는 고정된 특성이 아닌 노력을 칭찬하는 교육법과 모두가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사고를 높은 수준까지 끌어올리는 실용적인 수학 과제 등을 제시해 실수를 두려워하지 않고 깊이 생각하는 과정을 통해 수학적 사고력을 성장시키는 방법을 안내한다. 책 내용은 1장 수학 잘하는 뇌는 따로 없다, 2장 뇌를 자라게 하는 실수의 힘, 3장 수학은 계산하는 과목이 아니다, 4장 수학적 마인드셋 심기, 5장 성장 마인드셋을 만드는 수학 과제, 6장 수학적 평등과 인간적 평등, 7장 수준별 학습에서 성장 마인드셋 학습으로, 8장 수학적 성장 마인드셋 평가하기, 9장 성장 마인드셋을 위한 수학 교육법으로 구성돼 있다. 미래엔 위귀영 출판개발실장은 '수학이 좋아지는 스탠퍼드 마인드셋은 수학 포기자, 즉 수포자라는 단어가 너무 흔해진 현시대에서 누구나 수학을 잘할 수 있으며, 그 해답은 마음가짐에 달려 있음을 알려주는 책'이라며 '이제껏 시도해본 적 없는 학습법과 수학 과제를 수행하면서 수학에 대한 불신을 자신감으로 뒤집는 경험을 해보길 바란다'고 말했다.